※ 해당 글을 작성하게 된 이유,
문자열 관련 함수를 제대로 익히고 싶어 글로 남깁니다.
strip() / lstrip() / rstrip()
각각 문자열의 양끝에서 / 앞쪽에서 / 뒤쪽에서
공백 또는 문자(열)를 제거해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하는 함수
쓰임 1. 공백 제거
- str.strip()
문자열의 앞과 뒤의 공백 제거
string = " Mathematical think " print(f"[{string.strip()}]") # [Mathematical think]
- str.lstrip()
문자열의 앞의 공백 제거
string = " Mathematical think " print(f"[{string.lstrip()}]") # [Mathematical think ]
- str.rstrip()
문자열의 뒤의 공백 제거
string = " Mathematical think " print(f"[{string.rstrip()}]") # [ Mathematical think]
쓰임 2. 문자(들) 제거
- str.strip('<제거할 문자모음>')
문자열의 앞과 뒤에서 해당되는 문자(들) 제거
string = " !Mathematical think! " print(f"[{string.strip('! ')}]") # [Mathematical think]
- str.lstrip('<제거할 문자모음>')
문자열의 앞에서 해당되는 문자(들) 제거
string = " !Mathematical think! " print(f"[{string.lstrip('! ')}]") # [Mathematical think! ]
- str.rstrip('<제거할 문자모음>')
문자열의 뒤에서 해당되는 해당되는 문자(들) 제거
string = " !Mathematical think! " print(f"[{string.rstrip('! ')}]") # [ !Mathematical think]
※ 해당 게시물은 계속 수정해나갑니다.